본문 바로가기

Python45

8. 함수(function) 1 - 인수, 매개변수, 반환 값 함수는 특정 작업을 수행하는 명령어들의 모음을 말한다. 객제 지향 프로그래밍 언어에서는 이 함수를 메서드(method)라 부른다. 함수는 제조 공장과 같다. 원자재(입력)를 넣어서 여러 제조공장들(명령어들)로 이루어진 제조공장(함수)이 가동되고 반환(return, 반환 값)된다. 함수, 왜 사용할까? `. 위의 제조공장의 예를 조금 더 빌려보면, 함수는 필요할 때 주머니에서 꺼내 쓰는 제조 공장과 같다. 즉, 여러 명령어들의 묶음을 하나의 함수 이름으로 호출(call) 함으로써 굉장히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다. 2. 여러 차례 꺼내 쓸 수 있기 때문에 명령어들을 여러번 복사하거나 쓸 필요가 없어 간결하다. 3. 간결하게 묶여진 명령어들의 집합이 모여있으면 큰 프로그램이라도 구조화된 프로그램이 가능하다. .. 2022. 1. 18.
7. 반복문(Iteration) - while문 앞에서 설명했던 게시글을 먼저 참고하기 바란다. while문을 쉽게 알아보자 while문은 어떤 조건을 정해 놓고 반복을 하는 구조를 말한다. 체육시간에 오래 달리기 시험을 본다고 하자. 이때 짝을 지어줄 것이다. 한 명은 달리는 사람, 한 명은 달리는 사람의 바퀴수를 세는 사람으로 역할이 나뉜다. 이때 달리는 사람은 명령어가 될 것이고, 바퀴수를 세는 사람은 while문에 해당한다. 달리는 사람(명령어)가 달릴 때마다 세는 사람에게 몇 바퀴 뛰었냐고 물어보면, 세는 사람(while문)은 진행된 바퀴를 알려주거나, 앞으로 남은 바퀴수를 알려줄 것이다. while문의 구조는 어떻게 될까? i=1 while i < 11 : print("운동장 아직 더 돌아야돼") i = i+1 print("10바퀴 다 뛰었.. 2022. 1. 13.
6. 반복문(Iteration) - for문 동일한 명령어를 여러 번 실행하는 것을 반복이라고 한다. 파이썬에서는 이러한 명령어를 반복을 쉽게 하기위해 for문과 while문 두가지를 가지고 있다. for문과 while문, 잠깐 비교하고 갈까? for문 : 정해진 횟수만큼 명령어를 반복하는 구조 while문 : 어떤 조건이 만족되는 동안, 명령어 반복을 계속하는 구조. (통상 무한루프용으로 많이 사용된다.) 간단히 말해 명령어 반복 조건이 있고(while) 없고(for문) 차이 이다. 반복의 주체가 되는 것이 명령어이고, 이를 조건이 있으면 while문, 없으면 for문으로 나눈 것만 기억하면 된다. 또한 for문의 정해진 횟수라는 의미 ≒ 정해진 시퀀스가 있음이라 볼 수 있다. for문, 그 과정이 알고 싶다. for name in ['Jane'.. 2022. 1. 11.
5. 조건문 파이썬에서 조건문이란? 프로그램도 외부에서 들어오는 정보에 따라 많은 선택을 한다. 조건에 따라 결정을 내리는 문장을 조건문이라고 한다. age = 100 if (age>=100) : print("진행합니다") print("계속합니다") else : print("진행 불가 합니다.") 클론(:)의 의미는 클론은 파이썬 인터프리터에게 "아직 전체 문장이 끝나지 않았으니 잠시 해석을 미뤄달라"고 요청하는 기호이며 여러 문장을 실행하기 위해 블록(block)을 만든다. if 문 내의 동일한 개수의 공백을 가지고 있지 못하다면? 아래와 같은 에러를 발생 시킨다. IndentationError : unindent does not match any outer indentation level else 문을 생략해보자.. 2022. 1. 10.
4. 자료형 파이썬의 자료형 파이썬이 처리하는 자료형 3가지 종류가 있다. 정수(integer) 실수(floating-point) 문자열(string) 문자열(string)은 순서있는 집합(Sequence of characters)이다. 이를 프로그래머가 아닌 사람들은 텍스트 데이터라고 부른다. 자료형에서 자주 마주치는 오류 SyntaxError : 문법(syntax)라는 것은 프로그램의 문장이 바르게 구성한 규칙을 의미하기에, 오류에서 이 문장을 발견했다면, 규칙이 위반 되었다는 의미가 된다. SyntaxError : EOL while scanning string Literal word = 'home​ 위에서 EOL을 만난다면 이는 End Of Line 즉, 줄의 끝을 만났다는 의미이며 예를 들어, 문자열을 입력할.. 2022. 1. 6.
3. 상수(constant) 그리고 수식(expression)과 연산자, 함수 상수(Constant)란? 보통 수학에서 상수란 변하지 않는 불변량을 뜻한다. 이는 변수와는 반대되는 개념이다. 보통 상수의 이름은 대문자로 작성하는 것이 관례이다. GRANT_PERCENT = 0.35 MAX_VALUE = 75 상수값을 왜 변수에 대입하는 건가? 번거롭게 왜 상수를 변수에 대입하는 이유는 두 가지 이유가 있다. 가독성적인 면이 향상됨 특정 값이 바뀔 경우 해당 값을 일일이 찾아서 바꿔주지 않아도 됨. (유지보수에 도움이 됨) EN_SCORE = 40 duble = EN_SCORE *2 percent = 0.01 * EN_SCORE print("당신의 수정된 점수는 ",duble,"입니다") 수식(expression) 수식이란 피연산자들의 연산자의 조합을 의미함 연산자(operator).. 2022. 1. 6.